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교육과정론의 개념, 주요 접근 방법 및 개발 모형, 주요 이론가

by 커리어에듀코치 2024. 6. 10.
반응형

 

 

목차

 

     

    교육과정론(Curriculum Theory)은 학교에서 가르치는 내용과 학습 경험을 체계적으로 계획, 조직, 평가하는 데 관한 학문입니다. 교육과정론은 교육의 목적, 내용, 방법, 평가 등을 다루며, 다양한 이론적 접근을 통해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실행하는 원리를 연구합니다. 지금부터 교육과정론의 주요 이론, 모형, 개념, 그리고 접근 방법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교육과정론에 대해서

     

    교육과정의 개념

    교육과정은 공식적 교육과정과 잠재적 교육과정, 영 교육과정으로 나누어볼 수 있습니다. 먼저, 공식적 교육과정(Formal Curriculum)은 국가나 교육기관에 의해 공식적으로 결정된 교육 내용과 목표를 포함합니다. 잠재적 교육과정(Hidden Curriculum)은 공식적인 교육과정 외에 학생들이 학교 생활을 통해 배우는 가치, 태도, 행동 등을 포함하고, 영 교육과정 (Null Curriculum)은 학교에서 의도적으로 가르치지 않는 내용이나 가치를 의미합니다.

     

    교육과정론의 개념

    교육과정은 교육 커리큘럼을 검토하고 형성하는 데 전념하는 학문 분야로, 교실에서 한 어린이의 학습 과정의 역학이라는 좁은 의미에서 개인의 평생 학습 경로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해석을 가지고 있습니다. James MacDonald는 이론가들의 중심 관심사 중 하나는 개념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커리큘럼의 기본 단위를 파악하는 것이다.라고 언급하였습니다. 이 단위가 합리적 의사 결정이든, 행동 과정이든, 언어 패턴이든, 또는 다른 잠재적 단위이든, 이론가들이 합의한 것은 아닙니다. 커리큘럼 이론은 기본적으로 가치관, 커리큘럼의 역사적 분석, 현재의 교육 커리큘럼과 정책 결정에 대한 관점, 그리고 미래의 커리큘럼에 대한 이론화와 관련이 있습니다. Pinar은 커리큘럼 이론의 현대 분야를 커리큘럼을 상징적 표현으로 이해하려는 노력이라고 정의하였습니다. 대학 기록에서 '커리큘럼'이라는 단어가 처음 언급된 것은 1582년 네덜란드 라이덴 대학에서이지만, 연구 분야로서의 커리큘럼 이론은 1828년 라틴어와 그리스어를 포함한 고전 커리큘럼의 암기식 학습을 장려한 '고전의 방어에 관한 예일 보고서'의 출판과 함께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피날 은 커리큘럼 이론의 현대 분야를 커리큘럼을 상징적 표현으로 이해하려는 노력이라고 정의합니다. 대학 기록에서 '커리큘럼'이라는 단어가 처음 언급된 것은 1582년 네덜란드 라이덴 대학에서 입니다. 그러나 연구 분야로서의 커리큘럼 이론은 1828년 라틴어와 그리스어를 포함한 고전 커리큘럼의 암기식 학습을 장려한 '고전의 방어에 관한 예일 보고서'의 출판과 함께 시작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교육과정 이론의 주요 접근 방법

    첫째, 전통적 접근 방법입니다. 내용 중심 접근이 여기에 해당되며 교육과정의 핵심은 가르칠 내용이라고 봅니다. 주로 교과목 중심의 교육과정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대표적 인물로는 조지프 슈왑(Joseph Schwab)이 있습니다. 둘째, 경험 중심 접근(Experience-Centered Approach)으로 학생들의 경험과 활동을 중심으로 교육과정을 설계합니다. 학습자가 직접 경험을 통해 배운다고 봅니다. 대표적 인물로는 존 듀이(John Dewey)가 있습니다. 다음으로 학문 중심 접근입니다. 학문 중심 교육과정은 특정 학문의 구조와 탐구 방법을 중시하며, 학생들에게 해당 학문 분야의 핵심 개념과 방법론을 가르치며, 대표적 인물로는 제롬 브루너(Jerome Bruner)가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인간 중심 접근인데, 인간 중심 교육과정은 학생의 전인적 발달과 자아실현을 목표로 합니다. 감정, 가치, 자아개념 등을 중시합니다. 대표적 인물로는 칼 로저스(Carl Rogers)가 있습니다.

     

    교육과정 개발 모형

    교육과정 개발 모형은 아래의 3가지가 대표적입니다. 첫째, Ralph Tyler의 목표 중심 모형입니다. 타일러는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네 가지 기본 질문을 제시했습니다. 교육 목적은 무엇인가? 학습 경험을 어떻게 선정할 것인가? 학습 경험을 어떻게 조직할 것인가? 교육 목적 달성을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입니다. 둘째, 타바의 귀납적 모형입니다. Hilda Taba는 교사들이 교육과정 개발에 적극 참여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교육과정을 단계적으로 개발하는 절차를 제시했습니다. '요구 진단 → 목표 설정 → 내용 선정 → 내용 조직 → 학습 경험 선정 → 학습 경험 조직 → 평가 → 균형과 계열성 검토'입니다. 마지막으로 워커의 자연주의적 모형입니다. Decker Walker는 교육과정 개발을 실제 현장에서의 자연스러운 과정으로 보고, 실질적인 개발 단계를 강조했습니다. '강령(Platform) → 설계(Design) → 구현(Implementation)'입니다.

     

    교육과정 이론의 주요 이론가

    교육과정 이론의 주요 이론가는 첫째, 존 듀이(John Dewey)입니다. 경험과 교육을 주장했는데, 학습은 경험을 통해 이루어지며, 경험은 학습자의 현재와 미래를 연결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둘째, 제롬 브루너(Jerome Bruner)입니다. 그는 발견학습과 나선형 교육과정을 제안했는데 발견학습은 학습자는 지식을 단순히 수용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발견하고 탐구해야 한다고 보았습니다. 또한 나선형 교육과정은 학습 내용을 반복적으로, 점진적으로 심화하여 가르쳐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셋째, 파울로 프레이리(Paulo Freire)입니다. 그는 비판적 교육학을 제안했는데, 비판적 교육학은 교육을 사회적 불평등을 해결하는 도구로써, 학습자들이 비판적으로 사고하고 행동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은행저금식 교육에 반대하며, 학습자 중심의 대화식 교육을 지지했습니다.

     

    현대 교육과정 이론

    우선, 역량 중심 교육과정입니다. 학습자의 특정 역량이나 능력을 중시하며, 실질적인 문제 해결 능력과 성취도를 평가합니다. 둘째, 통합 교육과정이 있습니다. 여러 교과목의 내용을 통합하여 가르치며, 학습자가 다양한 지식과 기술을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적용할 수 있도록 합니다. 마지막으로 프로젝트 기반 학습 이 있는데, 학습자들이 실제 프로젝트를 수행하면서 지식을 습득하고 문제 해결 능력을 기르는 방법입니다. 교육과정론은 교육 현장에서 효과적인 교수-학습 과정을 설계하고 실행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다양한 이론과 모형을 이해하고 적용함으로써 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고, 학습자들이 보다 나은 학습 경험을 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지금까지 교육과정론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았습니다. 교육과정론은 교육 과정의 설계 및 개발, 평가에 초점을 맞춘 학문입니다. 이는 학습 목표 설정에서부터 교육 방법과 자원 배분, 평가 방법까지 매우 다양한 측면을 다룹니다. 주요 접근 방법으로는 전통적인 계획-실행-평가 모형부터 현대적인 개념적 모델링과 기술 중심의 접근법까지 다양합니다. 주요 이론가로는 존 듀이, 제롬 브루너, 파울로 프레이리 등이 있으며, 이들은 각자의 관점에서 교육 과정이 학습자의 요구와 사회적 변화를 어떻게 반영해야 하는지를 탐구했습니다. 결론적으로, 교육과정론은 교육의 효율성과 효과성을 높이기 위한 핵심 원리와 접근 방법을 제시하며, 이론의 지속적인 연구를 통한 발전과 현장에서의 적용을 통해 교육 현장의 실질적인 변화를 촉진하는 역할을 합니다.